CentOS 5.2 VSFTPD 설치
1. vsftpd 설치 전 확인 사항
① 설치전 nobody 유저가 생성되어 있는 확인
nobody 유저가 없다면 useradd 명령어를 이용하여 계정을 생성
② vsftpd 서버는 /usr/share/empty/ 빈 디렉토리가 필요하다.
디렉토리가 없다면 mkdir /usr/share/empty/ 명령어를 이용하여 생성
③ 익명 FTP (anonymous FTP)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ftp계정이 생성되어 있는 확인해야 하며
ftp계정의 홈디렉토리 /var/ftp 가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한다. 계정과 디렉토리가 존재한다면
디렉토리의 권한을 수정하다록 한다.
[root@helpdesk var]# chown root.root /var/ftp
[root@helpdesk var]# chmod og-w /var/ftp④ vsftpd 소스파일은 configure파일을 제공하지 않는다. make와 make install을 이용하여 바로 설치된다
2. vsftpd 설치
[root@helpdesk /]# yum install vsftpd
- 소스파일로 설치하려고 했지만 이것저것 확실히 아는 사항이 적어서 yum을 이용하여 설치하였다.
설치가 완료되면 vsftp.conf 설정파일을 /etc/vsftpd/vsftpd.conf에 저장된다.
[root@helpdesk vsftpd-2.0.7]# cp vsftpd.conf /etc
3 vsftpd 실행
FTP 서비스 시작 : /etc/initd.d/vsftpd start
FTP 서비스 종료 : /etc/initd.d/vsftpd stop
부팅시 자동 시작 : chkconfig vsftpd on
conf파일 수정후 xinetd 재실행 : /etc/rc.d/init.d/xinetd restart
vftp는 기본적으로 익명ftp로 동작하며 유저 ftp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conf파일을 수정해야 한다.
4. vsftpd.conf 수정하기
anonymous 옵션의 경우 주석으로 처리하여도 익명FTP가 작동하게 되면다 반드시 주석해제 후 NO 옵션을 적용해야 한다.
이밖에 추가 옵션은 천천히 올려보자.
conf파일을 수정한 후 /etc/initd.d/vsftpd restart 명령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재실행한다.
출처 : 호루루연구실 ( starkapin.tistory.com/503 )
'천년열혼 > 리눅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5.1.x 설치 및 my.cnf 설정방법 그리고 오류대처법 (0) | 2017.01.20 |
---|---|
MYSQL 백업하기 (0) | 2013.07.31 |